운전면허 시험 자격 나이 비용까지
운전면허 시험 자격
화창한 날씨가 반가운 요즘 미루었던 운전면허 시험에 도전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차가 생기면 그때 운전면허를 따서 장롱 면허로 두지 않겠다던 마음가짐 때문인지 30살이 훌쩍 넘은 지금도 아직 운전면허가 없는데요. 올해는 꼭 면허를 따는 것이 저의 작지만 큰 목표입니다.
운전면허 시험 절차는 크게 필기시험, 장내 기능시험, 도로 주행으로 3단계 프로세스로 구성되고요. 사람마다 운전면허를 빨리 취득하기도 또는 굉장히 힘들게 합격하기도 하는 것 같아요. 절차를 설명하기 전에 운전면허 시험 자격과 나이, 비용부터 알아보도록 할게요.
운전면허 시험 자격 나이는 면허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많이 취득하는 1종 보통, 2종 보통, 2종 소형면허 기준으로 만 18세인 자는 자격이 부여됩니다. 만 18세 미만이나 정신 관련 질환, 듣지 못하는 사람, 알코올 중독자 등인 경우 1종 보통 및 2종 면허 기준에서 결격 사유가 됩니다.
신체검사 기준으로 교정시력으로 1종은 양안 시력 0.8 이상, 각 안 0.5 이상, 2종은 양안 시력 0.5 이상, 한쪽 시력이 없는 경우 다른 쪽 시력이 0.6 이상이면 가능합니다. 색채식별은 신호등 구분은 해야 하므로 적, 녹, 황색의 색채식별이 가능해야 합니다.
또한 소리와 신체장애 또한 검사 항목으로, 소리의 경우 55데시벨, 보청기 사용자의 경우 40데시벨을 들을 수 있어야 하며, 신체장애인 경우 신체장애 정도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으면 인정해준다고 하네요.
이렇게 운전면허 시험 자격을 충족한다면 필기시험부터 차례로 준비하면 될 것 같은데요. 필기시험은 1종 보통은 70점, 2종 보통은 60점 이상이면 합격하기 때문에 기준이 높은 편은 아닙니다. 책 한 권 사서 쭉 공부해도 좋고 요즘엔 운전면허 필기시험 대비용 어플도 많아서 스마트폰으로 풀어보고 응시하는 경우도 많다고 해요.
필기시험 합격 후 장내 기능시험과 도로 주행에 응시해야 하는데 학원에서 4시간 정도 장내 기능 교육을 받는 경우가 많고 80점 이상 받으면 합격할 수 있습니다. 기능시험에 합격하게 되면 도로 주행 연습을 할 수 있는 임시 운전면허를 받게 되는데요.
연습 운전면허로 운전을 할 때는 운전면허를 취득한 지 2년이 지나간 사람과 승차해야 하고 주행 연습 표지를 차에 붙이고 주행해야 합니다. 또한 연습 운전면허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니 주의사항을 숙지하여 주행 연습을 하면 되고요. 도로 주행도 연수 후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하면 최종 운전면허 시험에 합격하게 됩니다.
운전면허 비용은 신체검사 비용은 6,000원, 필기시험 비용은 10,000원입니다. 장내 기능시험은 1종 보통, 2종 보통은 22,000원, 2종 소형은 10,000원이 발생하고, 도로 주행 시험 비용은 25,000원입니다. 시험에 불합격하게 되는 경우 계속 운전면허 시험 비용이 발생하므로 어느 정도 준비된 후 응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최종적으로 운전면허 시험 자격이 주어져 합격한다고 하더라도 바로 운전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운전은 연습도 중요하지만, 실전 경험이 쌓여야 하므로 배운 대로 안전하게 주행하는 습관을 초반부터 들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운전면허 시험 자격 나이 비용까지 알아봤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