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검사 준비물, 예약 체크사항

Posted by 꿀 떨어지는팁
2020. 8. 6. 13:25 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검사 준비물

 

 

얼마전 카톡 내문서함 기능을 통해서 자동차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카톡에게 이런 업무를 대행해달라고 부탁한 적이 없는데 올해 초 국세청에서 세금 관련 메시지를 받았고 이번에 자동차 검사 안내를 받게 되었네요.

 

 

생각보다 많은 정보가 카톡에 이용 동의가 되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쨌든 자동차 검사를 받아야 하는 분들은 잊지 말고 검사기간 이내에 예약을 통해서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저는 서울에 거주하다가 지방으로 이사를 왔는데요.

 

 

좀 더 비싼 종합검사를 받지 않을 수 있어서 기뻐 했더니 올해 7월부터 관련 법이 개정되어서 제가 사는 지역도 대기관리권역에 따른 종합검사를 받아야 하는 지역에 포함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좀 더 비싼 검사 요금이 들기 때문에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

 

 

자동차검사 준비물은 자동차 등록증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문자 안내에는 자동차 등록증, 보험증명서(전산 조회 불가시 제출)이라고 쓰여 있긴 합니다. 카톡으로 자동차 검사 안내 문자를 받은 분들은 대화에 있는 링크를 통해서 자동차검사 예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예약 하는게 불편한 분들은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에서 진행을 하면 됩니다. 인터넷을 통해 자동차 검사 예약을 하면 월~ 토요일 중에서 날짜와 시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사전접수를 통해 예약을 하면 월 ~금요일까지 날짜 중에서 지정을 하게 됩니다.

 

 

만약 예약이 꽉차 있다면 사설 자동차 검사 업체로 방문해도 됩니다. 비용도 거의 차이가 없으니 좀 더 편리한 방법을 통해서 이용해도 되는데요. 저는 평일에 방문할 수 있어서 예약을 하지 않고 가도 거의 대기 없이 검사가 가능했습니다.

 

 

자동차 검사 예약은 자동차 등록번호와 주민번호를 입력해서 본인의 차량을 조회합니다. 이후에는 검사소와 예약일자를 선택하는 순서에요.

 

 

자동차검사 예약은 결제까지 마쳐야 예약이 완료가 되는데요. 승용차 기준으로 온라인 예약을 하면 약 1200원 정도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사실 큰 차이는 없어서 예약 없이 가시는 분들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동차 검사는 정기검사와 종합검사가 있는데요. 정기검사가 훨씬 더 저렴한데 지역에 따라서는 저처럼 종합검사만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검사기간을 놓치면 과태료를 납부해야 하는데요.

 

 

자동차 검사기간은 안내 받은 기간 +30일입니다. 따라서 자동차 검사 과태료는 30일이 지난 이후부터 발생을 합니다. 30일 이후 추후 30일까지는 2만원 그리고 이후는 3일에 1만원씩 늘어납니다. 자동차 검사 과태료는 최대 30만원입니다.

 

 

개인적으로 자동차를 잘 알고 타는 편은 아닌데요. 자동차 검사를 받으면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알려주고 정비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자동차검사 비용이 조금 비싸다는 점은 아쉽긴 합니다. 자동차 검사 예약을 했어도 앞에 대기하는 차들이 있다면 기다려야 합니다. 예약을 했다고 원하는 시간에 바로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토요일만 시간이 되는 분들은 아무래도 대기 시간이 조금 들 수밖에 없고요. 평일에는 웬만하면 많이 기다리지 않고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자동차 검사 준비물, 예약 그리고 과태료까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정당한 사정이 있으면 자동차 검사 기간 연장 신청도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과태료를 납부하지 않도록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